본문 바로가기
건강

반복되는 어지러움, "이석증"에 대해 알아보고 해결 방법을 찾아보자!

by Wanna Bin 2023. 8. 2.

요즘 여성분, 또는 고령의 사람들이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빈혈 및 저혈압으로 어지러운 경우가 많지만 40대가 넘어갈수록 이와 같은 증상이 생긴다면

이석증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빈혈과 이석증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석증
귀의 이석증

1. 빈혈과 이석증의 차이

- 빈혈: 혈액이 지속적으로 체내에 활발하게 순환하지 못하여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여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로써, 월경을 하는 여성들은 대부분 혈액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빈혈이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석증: 양쪽 귀 안에 있는 평형감각을 유지하는 이석이 외부의 충격이나 신체적 문제로 인하여 떨어지는 것입니다.

 

단순히 어지러움증만 놓고 봤을 때는 크게 차이를 찾기는 어렵지만 그중에 차이점을 찾아보겠습니다. 이석증의 경우 고개를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고 심할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어지러움증이 사라지며, 가만히 있을 경우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반면 빈혈이 경우 신체의 움직임 없이 주변이 도는 듯한 느낌을 가지며 심박수가 높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이석증의 원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귀에 있는 반고리관은 움직임 즉, 평형감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중 이석은 반고리관 주변에 위치하여 중력 및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는데 원래의 위치가 아닌 반고리관 내부로 들어가 특정 자리에 위치하게 되면 사람이 움직일 때 신경을 자극하면서 우리 몸에 어지러움증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지만, 신체적 이상, 신경적 문제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외부적 요인      : 외부의 충격, 귀의 물집(예: 중이염) 이 생기는 경우 

- 메니에르병       : 이석증의 일종으로 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 소실적 이석증 : 혈액순환의 문제로 혈압문제, 미세혈관의 장애로 인한 경우

- 영양소 결핍     : 주요 원인은 아니고 드문 경우지만 간혹 비타민 B12,  비타민 D의  결핍으로 인한 경우

 

(참고: 비타민 B12: 신경기능 및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 결핍 시 신경계 문제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D    : 뼈 건강과 근육 기능을 담당하는 영양소로, 결핍 시 근육조절의 문제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

 

3. 해결방법

이석증은 대부분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증상이 사라져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매우 고통스러운 증상을 가지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사람마다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지만 병원에 빨리 내원하여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에플리 (이석치환술): 바로 누운 자세로 이석의 이동을 고개의 각도에 변화를 주어 이석의 위치를 자극이 덜한 곳으로 이전시키는 방법

국내 유명 병원에서 해당 방법을 시행한 후, 일주일 뒤 90%가 넘는 환자가 호전되는 경험을 하였다고 합니다. 

 

위의 방법과 어지러움증을 호전시키는 약물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석치환술의 설명만 봤을 때 굉장히 쉬워 보이지만 이석의 위치를 더욱 예민한 신경으로 이동시켜 더욱 고통받을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받기를 권장합니다. 해당 질병을 경험하면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위에 원인에서 이야기했듯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영양소 섭취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신체의 건강이 귀의 건강에도 영향을 끼치니 항상 음주, 담배를 조심하고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건강에 대해서 많은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